국제무역 정치외교 4학년
디자인 비전공자의 디자인팀 취업 가능성
현실적으로 어떤 조건이나 자질 필요한지
RE:ANSWERING
국제무역과 정치외교 전공 4학년입니다. 비전공자가 전자회사 디자인팀에 입사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가능하다면 필요한 조건이나 자질이 무엇인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 멘티님 안녕하세요. 디자인(d) 비전공자로서 전사회사 디자인(d?)팀 입사를 목표로 하며 필요한 조건과 자질을 여쭤보시는 것 같네요. 추가로 '기획형 디자인(D)' 쪽으로도 관심이 있으신 듯합니다. 저 역시 학창 시절부터 기획 분야에 매력을 느꼈고, 시각디자인을 전공했지만 단순 그래픽 작업보다는 프로젝트 초반부터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 방안을 찾아가는 과정에 더 흥미가 있었습니다.
대기업의 특수성과 직무의 명확한 구분
전통적인 대기업에서는 대개 기획과 디자인 직무가 엄격히 분리되어 있습니다. 하나의 팀에서 기획과 디자인을 함께 수행하기 어려운 체계라는 점을 염두에 두는 것이 우선 필요합니다. 이를테면, LG전자도 디자인경영센터 아래에 GUI 디자이너(d)들이 속해 있고, UX 담당자들은 각 사업부에 흩어져 있죠. 하지만 점점 UX와 GUI 담당자가 단일 조직으로 통합되는 경향도 있긴 합니다. 이럴듯 조직마다 양상이 다릅니다.
보통 신입사원이 입사하자마자 기획이 가미된 특정 부서에 배치되는 일은 드뭅니다. 온전히 기획 조직을 겨냥한 전형이 아니라면 말이죠. 사내에서 부서 간 이동을 통해 경력을 쌓은 이후 이동하는 경우도 많고, 무엇보다 어느 정도의 업계 구력을 요하는 업무이기 때문입니다.
또 기획 쪽을 선호하신다면 어쩌면 UX보다는 상품기획 조직이 더 적합할 수도 있습니다. 상품기획 조직은 초기 아이디어 개발부터 비용 검토 등 기획 관련 업무를 심도있게 다루고, 이후 UX 등의 조직으로 의뢰를 내리는 방식으로 업무가 진행 된답니다. 업무의 색깔이 의외로 많이 다르기에 단순히 기획이라는 카테고리는 목표로 삼기 불분명한 측면이 큽니다. 모든 디자인 조직 내에 기획팀이 소규모 존재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는 멘티님께서 생각하시는 업무와 결이 맞는지 확인도 필요합니다.
LG전자 디자인팀의 비전공자 채용 가능성
디자인팀 내에도 디자인(d) 비전공자가 있으며, 이들은 주로 UX 관련 담당자로 일하는 경우가 아무래도 많습니다. UX 분야는 다양한 전공자들이 종합적으로 협업하는 분야라 심리학, 언어학, 문화인류학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엮여 있습니다.
따라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하지 않았다고 해서 UX 분야로의 진입이 무조건 어렵진 않습니다. 결국 어떤 전문성을 가질지 선택의 문제인 것이지요. 다만 GUI 디자이너(d)와 같이 실무에서 온전히 그래픽 중심적 업무를 다루는 분야라면 피그마 등 익히 알려진 툴 사용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익숙한 수준의 역량은 필요합니다.
저는 시각디자인 전공이지만 현재 GUI 작업에 바로 투입될 수 있을지는 자신할 수 없습니다. 이유는 계속해서 디자인(D) 중심의 업무를 해왔기 때문이죠. 이처럼 다양한 케이스가 존재합니다.
말씀드린 내용을 참고로, 대기업에서의 체계와 직무 분리 상황을 고려해 목표지향적으로 준비해 보시길 조언합니다. 혹시 답변에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조금 더 자세히 질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