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살 콘텐츠 제작자, 매너리즘 겪고 UX로 전향
UX 분야로의 전향 계획이 가능성 있을지가 불안
33살이라는 나이가 너무 늦지 않은지 걱정 중
RE:ANSWERING
멘토님 안녕하세요. 저는 텍스트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는 33살입니다. 최근 콘텐츠 제작에서 매너리즘을 느끼던 중 UX 디자이너라는 직업을 알게 되었고, 이 분야에 도전해보려 합니다. 하지만 33살이라는 나이가 현실적으로 늦은 건 아닌지, 제 계획이 실현 가능한지 걱정이 앞서네요. 멘토님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멘티님. 질문에 대한 저의 답변은 "네, 가능합니다!"입니다. 제가 33살에 서비스 기획자와 온라인 마케터를 거쳐 UX 분야로 이직했기 때문이죠.
UX 이직의 핵심: 답을 만들어가는 과정
'이렇게 하면 된다'는 정형화된 UX 진입 방법은 없습니다. UX 이직의 가장 큰 특징은 일관된 답이 없다는 것이죠. 정해진 답을 찾기보다는 '답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현실적인 가능성을 평가하고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가는 전략을 세우는 것입니다.
현재 가능성이 30%라면 나머지 70%를, 90%라면 10%를 보완하는 식으로 자신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맞춤형 전략을 구성해야 합니다. 이렇게 준비하면 최종 목표인 ‘100% 가능성’에 다가갈 수 있습니다.
목표는 회사가 원하는 인재 되기
'회사가 원하는 인재가 되는 것'이 목표입니다. UX 분야에서도 각 회사와 직무가 기대하는 역량이 다르기 때문이죠. 어떤 회사는 기획력을, 어떤 직무는 비주얼 디자인 즉, 시각화 역량을 중시합니다. 따라서 내 경험과 포트폴리오는 목표 회사와 직무의 니즈에 맞게끔 준비가 되어야 합니다.
방법은 정보 수집과 역량 강화
효율적으로 준비하려면 목표 회사를 설정하고 UX 담당자나 채용 담당자와 소통해 회사가 원하는 역량을 파악하세요. 이 정보를 바탕으로 필요한 역량은 채우고, 강점은 두드러지게 만들어 회사가 "우리가 찾던 인재"라고 인식하도록 준비하면 성공 확률이 높아집니다.
나만의 길을 만들 것
포트폴리오 학원 과정이나 선배들의 사례는 참고만 하세요. 각자의 상황과 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진정한 경쟁력은 목표 회사의 요구에 맞춘 준비에서 나옵니다. 즉, 개개인이 가야할 여정은 생각보다 많이 다를 수 있습니다. 더 구체적인 질문이 있다면 언제든지 답변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