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진학 후 원하는 직무와 다른 방향이라 당혹
IT 혹은 IoT UX 쪽으로 취업을 희망
취업 관련 대학원과 연구실 선택의 중요성?
RE:ANSWERING
안녕하세요, 멘토님. 대학원 1학기를 마친 멘티입니다. 진학 당시 정보를 충분히 알아보지 못해 현재 연구실이 제 목표와 맞지 않음을 깨달았습니다.
IT 및 IoT UX 취업을 목표로 UX 리서치와 데이터 분석을 하고 싶지만, 현재 연구실은 해당 방향과 거리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경력을 쌓는 것이 나을지, 목표에 맞는 연구실로 다시 진학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멘티님, 안녕하세요. 주신 질문에서 네 가지 포인트를 정리해 답변드리겠습니다.
대학원 선정 기준과 꿀팁
대학원과 연구실 선택은 무엇보다 '발품'을 통해 살아있는 정보를 얻는 것이 핵심입니다. 저 역시 친구 추천으로 대학원에 진학했지만, 연구실 결정은 철저히 방문 및 면담을 통해 여러 가능성을 따져보며 이루어졌습니다. 인터넷 등에서 얻는 정보는 제한적이기에, 가능하면 직접 학교와 교수님을 만나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현재 석사과정 지속 여부
이미 석사 과정 중이시기에 빠르게 결정을 내리는 것이 좋습니다. 첫 학기는 탐색전으로 활용해도 괜찮습니다. 한 학기를 더 보내면 중도 포기보다 유지가 더 어려워집니다. 지금 진행 중인 과정이 맞지 않다고 판단되면, 아쉬움에 발목 잡히지 않고 다른 선택지를 고려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석사 생활에 대한 불안감이 주된 이유라면, 이에 대해 차근히 살펴보며 새 출발을 계획해 보시길 권합니다.
취업 시 대학원 연구실의 영향
연구실 배경이 취업에 영향을 미칠지는 기업이 연구 중심 조직인지에 달려 있습니다. 주로 중요한 것은 실무에서의 도메인 지식과 경험이므로, 지원 시 연구실보다도 지원 직무에 맞춘 전문성을 만드는 것이 필요합니다. 석사 학위가 있으면 초봉이 다소 높은 편이지만, 큰 영향력은 없으니 기대를 많이 갖기보다는 포트폴리오에 힘을 실어주세요.
작은 회사와 적합한 연구실 재진학
‘스타트업이냐, 연구실 재진학이냐’는 둘 다 보장된 선택지가 아니기에 서둘러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우선 지금의 소속을 유지하면서 목표 회사나 연구실을 준비하는 ‘환승이직’ 도 고려해보세요. 특히 데이터 분석에 관심을 두신 만큼 관련 자격과 툴로 실력을 키우는 것이 취업 준비에 현실적인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