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생 4학년
현실적인 업계 전망과 생명 주기
경력 없이 대기업 취업 가능 여부
RE:ANSWERING
현실적인 UX/UI 디자인 분야의 전망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제 전공 관련 직업인 프로그래머는 공부하지 않으면 그 생명주기가 짧다고 하는데요. UX/UI 분야는 어떤가요?
만약 UX/UI 분야를 준비한다면, 관련 학원에서 포트폴리오를 준비해 경력 없이도 대기업에 취직할 수 있나요?
어중간한 실력이라면 차라리 시작하지 않는 것이 나을까요?
➥ 멘티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저는 시각디자인 학부를 졸업하고 1년 반 정도 일하다가 UX 연구실로 진학해 풀타임으로 공부한 후, 지금의 회사와 산학 프로젝트를 계기로 현재 UX 업무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멘티님의 질문이 간단하게 작성되어 일반적인 조언 위주로 답변 드리겠습니다. 현실적인 조언이니 참고 하시되 큰 부담은 갖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분야의 전망보다는 흥미가 중요
UX/UI 분야의 전망은 보는 시각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화면 대신 제스처나 음성을 활용하는 UI가 늘어난다면 현재와 같은 화면 디자인(d) 수요는 줄어들 수 있겠죠. 그러나 UX는 사용자가 ‘경험하는 모든 것’을 다루는 영역이기 때문에, 기술이 발전해도 사용자 관점을 이해하고 설계하는 일은 계속될 것입니다. 결국 전망보다는 본인이 이 분야에 흥미를 느끼고 성취감을 찾을 수 있는지를 먼저 고려해 보시길 권합니다.
생명주기보다는 조직 특성에 맞춘 선택이 필요
UX/UI 분야의 생명주기와 자기 계발에 대한 질문이 있었는데, IT 분야 특성상 자기 계발이 필요한 것은 맞습니다. 예를 들어, AI 때문에 음성 UI/UX 전문가가 주목받고 있는 것처럼요. 그러나 치열한 회사일수록 생명주기가 짧고, 무엇보다 조직 특성에 따라 크게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니 단순히 생명주기 만으로 진로를 결정하기 보다는 조직과 직무 특성을 잘 이해하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기업은 대개 경력자를 선호
학원에서 포트폴리오를 준비해 대기업에 경력 없이 입사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해 물어보셨습니다. 대개 기업들은 아무래도 경력자를 선호합니다. 실무에 바로 투입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UX 컨설팅 회사나 에이전시는 상황이 다를 수 있지만, 대기업의 경우 직무 경험이 있는 경력자를 주로 채용하는 편이죠. 물론 내부 사정으로 인해 신입을 선호할 수도 있습니다. 실은 일반화하는 것은 이렇듯 의미가 없습니다.
바꿔 말하면, 실무 투입형 신입이라면 얘기가 또 달라질 수 있겠습니다. 학원 포트폴리오와 실제 업무는 차이가 많이 납니다. 회사의 비즈니스 위치나 프로세스에 따라 UX 업무가 다르기 때문에, 졸업 시점에 맞춰 희망 회사의 채용 현황을 꼭 살펴보시길 추천합니다. 즉, 실무 경력에 준하는 경험들을 열심히 모으셔야 한단 의미입니다.
완벽하다면 신입이 아닌 것
마지막으로 “어중간한 실력이라면 차라리 시작하지 않는 것이 나은가”라는 질문에 답하자면, 회사는 신입에게 완벽을 기대하지 않습니다. 일을 빠르게 배우고 잘 적응할 수 있는지, 또 성장할 가능성을 봅니다. 선발은 일종의 투자인 셈이죠. 저도 고민이 길어져 첫 회사에 서른이 넘어서 입사하게 되었는데, 멘티님께서도 자신감을 가지고 조바심 내지 않으셨으면 합니다.